자동차 급발진 사고로 여러 사고가 발생하고 있고 sns를 통한 동영상도 자주 접할 수 있어 두려움과 공포감을 조성하기도 한다. 급발진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조심할 수 있는 범위에서 주의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알아보자
자동차 급발진
급발진은 자동차 운전자가 자동차를 움직이는 어떤 행위를 하지 않았음에도 자동차가 스스로 급 가속하여 움직이는 현상을 말하며 마치 가속페달을 세게 누른 것처럼 RPM이 급상승하여 운전자는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. 이때 브레이크 기능이 마비되어 작동을 하지 않게 되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.
급발진 사고 대처 방안
1. 브레이크를 한 번에 힘껏 밟기
2. 기어를 중립으로 놓기
3. 속도가 줄어들면 주차 브레이크 사용하기
4. 속도가 조금 줄어들면 시동 끄기
5. 멈추지 않는다면 옆에 장애물에 긁어 정차하기
주행 중 급발진을 의심하는 상황인 주행속도 가속화가 생긴다면 브레이크를 강하고 세게 밟아 속도를 줄여보도록 한다. 또한 기어를 N(중립)으로 놓고 핸들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며 핸드 브레이크를 천천히 올릴 수 있도록 한다. 핸드브레이크를 급하게 조절할 시에 차가 회전을 하여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.
그럼에도 급발진이 제어가 되지 않는다면 속도가 조금 줄어든 틈을 타서 도로 가드레일이나 옆을 밀어붙여 차가 정차할 수 있도록 하며 운전자나 탑승자가 다치지 않게 유의하여야 한다.
급발진 예방 습관
운전석의 매트가 엑셀레이터나 브레이크에 걸리지 않도록 잘 정돈하여야 하며 물병이나 핸드폰 등 물건들이 떨어지지 않게 늘 조심하여야 한다.
운전 시에는 구두나 샌들의 밴드들이 페달 밟는데 걸리적거리지 않도록 딱 맞는 편한 신발을 신어야 하며 시동을 끌 때 기어는 P(주차)에 두고 꺼야 한다.
급발진 초래하는 시동걸기

스마트키로 시동을 걸면 전자장치 결함이 생길 확률이 높고 장기적으로 급발진 원인이 될 수도 있다. 시동은 한 번에 거는 것보다 두 번 정도로 나누어 걸어야 급발진의 정도를 막을 수 있다.
스마트키로 시동을 걸 때에는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 시동 버튼을 누르고 경고등이 꺼지면 브레이크를 밟아 시동을 거는 방법이 전자장치의 자동차를 먼저 깨운 후 활성화되도록 하는 방법이다.
키를 이용하여 시동을 걸 때에는 열쇠를 반만 돌리고 경고등이 꺼지면 시동을 걸게 되면 자동차 수명도 늘리고 급발진도 예방할 수 있다.
참고 : 박병일의 명장 본색
'생할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 연봉 실수령액 1억 실수령액표 4대 보험 계산기 (0) | 2022.09.15 |
---|---|
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70만원 지급 및 신청방법 (0) | 2022.07.19 |
김과외 어플로 과외 선생님 직접 찾기 (예체능, 유아전문, 수수료, 고객센터) (0) | 2022.06.21 |
숨은 나의 보조금 찾아주는 정부 맞춤서비스 '보조금24' (0) | 2022.06.17 |
'바다로'이용권으로 연안여객선 할인받고 해양문화 체험 (0) | 2022.06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