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
2023년에 달라지는 제도 중 하나는 만 나이가 도입된다는 것이다.
우리나라는 그동안 일상에서 세는 나이와 만 나이의 혼합으로 인해 불편함을 초래해 왔는데 2023년 6월부터 만 나이제도가 도입되어 만 나이로만 사용하게 된다.
앞으로는 법령이나 계약서, 공문서 등에 만 나이로 기입해야 하기에 만 나이 이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.


오히려 만 나이 도입이 처음에는 혼란스러울 수 있는 게 만 나이는 생일이 지났느냐 지나지 않았느냐의 기준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기 때문이다.
그러기에 만나이 계산기를 통해 정확하게 본인의 만 나이를 알아두면 좋다.
아래 링크의 만나이 계산기를 통해 만 나이를 계산해 보자.


우리나라에서 성인을 칭하는 만18세 이상을 기준으로 할 수 있는 일을 간단하게 알아보자.
- 투표
- 운전면허 취득
- 아르바이트 및 취업
- 군대 입영
- 9급 공무원 지원
- 워킹홀리데이 신청
- 청소년 관람불가 영화 관람
만 나이 계산기 바로가기
다음은 출생 연도에 따른 한국식 세는 나이와 만 나이를 정리해 보았다. 만 나이는 생일지남과 생일 안지남을 기준으로 계산하였으며 또한 출생 연도에 따른 띠도 알아볼 수 있다.


반응형
'생할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포장이사 실제 견적 후기) 영구이사 KGB 김병만의 파란이사 싹서비스 통인익스프레스 로젠이사 (0) | 2023.05.03 |
---|---|
제주시 제주대학교 하영드리미 소개 및 이용방법 (0) | 2023.02.03 |
2023년 연봉 월급 실수령액 표 연봉계산기 최저임금 최저월급 (0) | 2023.01.31 |
중앙 교육 연수원 원격연수 법정의무교육 및 수강신청 방법 이수증발급 (0) | 2023.01.14 |
2022 연봉 실수령액 1억 실수령액표 4대 보험 계산기 (0) | 2022.09.15 |